이야기란 무엇일까?
최근에 매우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을 겪었다. 그럴 때 나의 대처법은 영화나 소설을 보는 것이다. 드라마 등을 보는 것이다. 새로운 것은 아니다. 예전에 보았던 것을, 굉장히 혼란스러운, 우울한 상태에서, 가만히 이것저것 떠올려보다 적당한 것을 골라낸다. 그리고 그것을 그냥 본다. 이것은 나의 오래된 방책이다.
지금보다 훨씬 젊었던 시절에 우연히 발견한 방책이다. 그때 나는 밤을 꼬박 새워가며 영화 한 편을 서너 번 반복해서 봤던 것 같다. 연달아서.
그것이 어떻게 나의 마음을 위로했을까?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었을까?
내가 이러한 심리적 기제에 대해 잘 아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에 문득 그것은 ‘이야기가 언제나 끝이 나기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받는 끔찍한 스트레스에는 결코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 어떻게 해도 상황은 바뀌지 않는다. 그게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 뭔가 해결책이 있을 수 있고, 되돌아보면 그런 게 있었던 것 같기도 하고, 또는 해결책을 모색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내 경험상, 그러한 노력은 결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지 못한다. 그것이 순전히 개인적인 궁지일 수 있지만, 절대적인 궁지다. 한마디로 말하면, 때로 인생이 거의 끝장난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어떤 것이 훼손된 채로 영원히 복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것은 사실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어떤 면에서 아이러니한 일이다. 그럴 때 이야기를 보는 게, 이야기를 읽고, 경험하고, 맞닥뜨리는 게 도움이 된다니…… 게다가 그것이 결국 끝이 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게……
이야기를 통해 몇 번이나 똑같은 결말을 경험한다. 이미 말했듯이 그것은 내가 잘 알고 있는 이야기다. 그것은 몇 시간 전에 내가 봤던 이야기고, 내가 경험했던 끝이다. 그렇게 끝이 반복될수록 내 마음은 나아진다.
이야기가 끝이 나는 것처럼, 내가 겪는 스트레스, 내가 처한 절망적인 상황이나 마음도 끝이 날 거라고 여겨져서일까?
그럴 수도 있지만 조금 다르게 느껴진다.
그렇게 끝이 나니까, 뭔가 의미가 생기는 것처럼 느껴진다. 거기에 어떤 내용이 생겨난다.
나는 때로 이야기가, 특히 지극히 대중적인 장르물들이 게임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게임 등이 원작인 이야기(영화나 드라마)도 여럿 있다. 나는 그래서 한때는 이야기의 구조란 게 게임이랑 참 유사하구나 싶었던 적도 있다. 주인공이 있고, 상대방(적)이 있고, 대결, 위기, 해결 등등. 이야기와 게임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구별되는 게 딱 한 가지 있다면 이야기에는 항상 끝이 있다는 것이다.
게임을 하는 사람은 끝을 바라지 않는다. 물론 마지막 스테이지까지 깨는 걸 원하지만, 그래서 끝내는 걸 원하지만, 게임 자체는 끝나지 않길 바란다. 무한히 반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어쩌면 이것은 ‘쇼트폼’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 계속 화면을 아래로 내리는 것과 비슷하다. 또 매우 자본주의적이기도 하다. 무한히 성장하기를 바라는.)
하지만 이야기를 읽는 사람은 그렇지 않다. 때로 너무 재밌는 이야기는 끝나지 않길 바라기도 하지만, 그래도 언젠가 끝이 난다는 걸 잘 알고 있다. 그것이 이야기인 한. 끝을 잘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야기(플롯)란 ‘시작과 중간과 끝’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나는 그의 이 말이 바로 그러한 뜻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여기 묶인 나의 소설들이 좋은 것인지, 읽을 만한 것인지, 어떤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다 끝이 있다. 그것이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현재 나의 바람이다.
2024년 4월
나는 항상 내가 좀더 나아질 거라고 믿었다. 언젠가는 다른 내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어떤 의미에서는 그게 소설가였는지도 모르겠다. 내 마음속에서 소설가란 그런 거였는지도 모르겠다. 소설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 후세에 남을 어떤 멋진 이야기를 쓰는 사람이 아니라, 그냥 그런 것. 미래의 나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