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대학과 버밍엄대학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예일대학 미술사학과 교수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시각예술에 대한 광범위한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은책으로는 공동편집한 <식민주의와 오브제 : 제국, 물질문화, 미술관>(1998)과 <0프레더릭 레이턴: 고전, 르네상스, 모더니티>(1999) 등 이 있다.
결국 이 책은 라파엘전파주의의 역동적인 에너지가 역설-내적인 대립과 갈등-을 통해 드러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라파엘전파 양식에는 과거와 현재, 전통주의와 근대성, 상징주의와 사실주의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작품들은 도시와 시골, 여성과 남성, 노동자와 자본가, 식민자와 피식민자 간의 긴장을 드러낸다. 심지어 라파엘전파 작가들의 정체성조차도 부르주아와 보헤미안, 복음주의자와 관례주의자, 집단성과 개인 사이를 오가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성처녀 마리아의 어린시절', '이사벨라', '고용된 양치기' 같은 초기 라파엘전파 작품들과 마지막 장에서 논의하게 되는 화려하고 신비로운 그림들과의 상반되는 차이는 라파엘전파에 관한 '읽기'가 얼마나 다양하고 필요한 작업인가를 말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