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이혜민

최근작
2023년 5월 <아무도 데리러 오지 않았다>

이혜민

경기도 여주에서 돼지농장을 하는 부부의 둘째 딸로 1982년 삼일절에 태어났다. 이화학당의 자랑인 유관순 열사를 동경하며 이화여자대학교에 들어가 정치외교학을 공부했다. 2007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해 〈신동아〉, 〈주간동아〉에서 마이너리티를 취재했다. 2012년 일제 징용 피해자 유해 발굴 현장인 사할린, 위안부 흔적이 남은 사이판과 팔라우를 찾아갔다. ‘가해자에게 사과받지 못하는 현실’보다 ‘피해 실태조사가 미흡한 현실’이 더 안타까웠다.
2013년, 6·25전쟁 귀환 국군포로들에게 마음이 갔다.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기사로 싣지 못해 논문으로 담아내자 싶었다. 이듬해 육아휴직을 받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석사과정)에 들어갔다. 복직해 논문 작성을 미루는 사이 전두환 전 대통령을 인터뷰했다. 전 전 대통령에게 5·18에 대한 책임을 물은 뒤 책무라는 단어의 무게를 알게 됐다. 영화 〈군함도〉를 계기로 군함도를 취재했다. 군함도 피해자 6명은 만날 수 있겠다 싶었다. 단행본 《기록되지 않은 기억 군함도》(2018) 책날개에 ‘귀환 국군포로 40여 명을 취재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고 적은 것은 제비가 ‘시간’을 물어다 주길 바랐기 때문이다. 책 곳곳에 ‘전쟁의 참혹함을 기록하는 데 인생을 걸겠다’는 포부를 적어놨지만, 건강이 나빠져 2019년 회사를 떠났다.
그토록 갖고 싶었던 기자 직함을 잃은 대신 시간을 얻었다. 코로나 사태가 한창인 2020년 민폐인 줄 알면서도 귀환 국군포로들의 인터뷰를 진행해 논문 〈한국전쟁 귀환 국군포로 구술사 연구〉(2021)를 작성했다. 지금은 두 아이를 키우며 포부를 안고 나아가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기록되지 않은 기억 군함도> - 2018년 10월  더보기

유대인의 참상은 끊임없이 재확인되고 있는데 우리는 기록조차 되지 않은 참상이 무수히 많다. 그간 이 일을 해온 사람들을 폄훼하는 것이 아니다. 이 일을 하는 사람이 너무 적기 때문에 기록물이 빈약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을 뿐이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이런 문제를 문화인들이 소설, 만화,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하고 있다. 문화는 중요하다. 하지만 문화는 문화다. 이 일이 역사로 남으려면 기록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과거를 기록해 이런 일이 반복되는 걸 막고 싶다. 일본 정부가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알리면 되지 않을까. 군함도(하시마)만 해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처럼 현장이 보존되어 있다. 비록 일반 관광객이 강제동원된 조선인과 중국인의 숙소에 가볼 수는 없지만 군함도에 발을 디디는 것만으로도 실상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사과하지 않는 일본 정부를 비판한다. 하지만 이제는 비판을 넘어 우리가 당장 할 일을 찾아야 할 때가 아닐까. 피해자를 추모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한일 과거사 분야에도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과 같은 시민기록집단이 생기길 기대한다.

- 프롤로그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